반응형
문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삼각형이 나선 모양으로 놓여져 있다. 첫 삼각형은 정삼각형으로 변의 길이는 1이다. 그 다음에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정삼각형을 계속 추가한다. 나선에서 가장 긴 변의 길이를 k라 했을 때, 그 변에 길이가 k인 정삼각형을 추가한다.
파도반 수열 P(N)은 나선에 있는 정삼각형의 변의 길이이다. P(1)부터 P(10)까지 첫 10개 숫자는 1, 1, 1, 2, 2, 3, 4, 5, 7, 9이다.
N이 주어졌을 때, P(N)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문제풀이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dp=[0]*101
def ans(n):
#01
dp[1]=1
dp[2]=1
dp[3]=1
#02
for i in range(4,n+1):
dp[i]=dp[i-3]+dp[i-2]
return dp[n]
#03
for _ in range(int(input())):
n = int(input())
print(ans(n))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DP) 문제이다. 즉 점화식을 얻어내는 것이 문제 풀이의 관건이다.
- 문제에 나와있듯이 P(1)~P(10)은 각각 1,1,1,2,2,3,4,5,7,9이다.
- #01 : P(1)~P(3)까지는 딱히 규칙을 찾을 수 없었기에, 각각 dp 리스트에 매칭시켜주었다.
- #02 : P(4)부터 P(1)+P(2) 즉 2=1+1라는 규칙이 성립된다. P(5)도 마찬가지로 2=1+1이 성립된다.
즉 우리는 dp[i] = dp[i-3]+dp[i-2]라는 점화식을 얻었다.
- #03 : 이후 n값을 입력받는 for문을 통해 함수 ans를 이용해 dp[n]값을 리턴받아 출력한다.
'프로그래밍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백준 15828 파이썬 - Router (0) | 2022.11.12 |
---|---|
[알고리즘] 백준 11399 파이썬 - ATM (1) | 2022.11.11 |
[알고리즘] 백준 15650 파이썬 - N과 M(2) (2) | 2022.11.09 |
[알고리즘] 백준 1676 파이썬 - 팩토리얼 0의 개수 (2) | 2022.11.08 |
[알고리즘] 백준 4153 파이썬 -직각삼각형 (3) | 2022.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