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입변환 2

자바 - (10) 타입 변환과 다형성

다형성 사용 방법은 동일하지만 다양한 객체를 활용해 여러 실행결과가 나오도록 하는 성질이다. 출처 : 혼자 공부하는 자바 메소드 재정의는 Override로 저번 포스팅에서 다루었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타입 변환에 대해 다루려고 한다. 자동 타입 변환 출처 : 혼자 공부하는 자바 위와 같이 ( 부모타입 변수 = 자식타입;)과 같은 형태를 사용하면 자동 타입 변환이 일어난다. 당연히 부모로부터 상속받은 것이 자식이기에 자동 타입 변환이 일어난다. 추가로 바로 위 부모가 아니더라도 상속 계층에서 상위 타입인 경우도 자동 타입 변환이 가능하다. 출처 : 혼자 공부하는 자바 ​ 부모 타입으로 자동 타입 변환 이후에는 부모 클래스에 선언된 필드 및 메소드만 접근 가능하다. 예외적으로 메소드가 자식 클래스에서 재정의된..

대학교 2023.11.24

자바 - (2) 기본 타입, 타입 변환

기본 타입 출처:혼자 공부하는 자바 각각 타입마다 저장되는 값의 허용 범위가 다르다. 문자열의 경우는 String이라는 타입을 이용한다. char의 경우는 유니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그렇기에 문자열을 char 타입에 저장할 수 없다. 출처:혼자 공부하는 자바 자바도 마찬가지로 이스케이프 문자를 사용해서 줄 바꿈, 띄움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boolean과 같은 논리 타입의 경우는 true, false의 리터럴 값을 저장할 수 있다. 타입 변환 - 자동 타입 변환 : 값의 허용 범위가 작은 타입이 큰 타입으로 저장될 경우 출처:혼자 공부하는 자바 위와 같이 범위에 따라 자동적으로 타입이 변환되는 경우를 말한다. ​ ​ - 강제 타입 변환 : 큰 허용 범위 타입을 작은 허용 범위 타입으로 강제..

대학교 2023.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