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역 변수
함수의 파라미터 포함, 함수 내에서 지정된 변수이다.
함수 바깥으로가면 사라진다.

위의 함수를 시행하고 return을 저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print를 하게되면
모두 지역 변수이기에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전역 변수
함수 바깥에서 정의되는 변수를 전역변수라고 한다.
전역 변수는 함수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다.

지역 변수를 활용하는 것이 코드의 안정성과 메모리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
추가로 global 예약어를 사용해서 함수 내에서 전역 변수로 변수를 assign할 수 있다.
클래스
클래스는 객체의 메소드와 속성을 정의한다.

__init__은 생성자로 클래스가 만들어질 때 자동으로 호출되는 함수이다.
위의 경우 self라는 객체에 name, wheel_number, color가 설정된다.

위의 코드에 메소드를 추가한 것이다.
메소드는 wheel_number에 입력받은 매개변수 n을 추가로 더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실습 문제

위와 같이 사칙연산이 가능한 계산기 클래스를 만들어보자
class FourCal:
def setdata(self,a,b):
self.a=a
self.b=b
def add(self):
return self.a+self.b
def sub(self):
return self.a-self.b
def mul(self):
return self.a*self.b
def div(self):
return self.a//self.b
a=FourCal()
a.setdata(4,2)
print(a.add())
print(a.sub())
print(a.mul())
print(a.div())
'대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 (11) 추상 클래스 (1) | 2023.11.28 |
---|---|
자바 - (10) 타입 변환과 다형성 (1) | 2023.11.24 |
데이터구조 - (9) 색인과 이진 검색 트리 (1) | 2023.11.22 |
데이터구조 - (8) 정렬 -2 (0) | 2023.11.22 |
한국 근현대사 - (8) 제3공화국 (1) | 2023.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