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경제 상황과 전망
현재 경제 상황과 전망
코스피 급락 위 링크의 기사와 같이 오늘 코스피는 3%이상 급락했다. 미국 물가 상승으로 결국 채찍의 끝에...
blog.naver.com
약 1년 전 상황에 대한 나만의 생각과 나름의 전략을 정리한 포스팅이다.
- 현재 경제 상황
- 금리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기준금리를 계속해서 올렸고, 올해 초부터 3.50%로 동결하는 모습이다.
(기준금리와 콜 금리의 관계를 정확히 알고 있다면 금리와 주식시장과의 관계를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우선 우리나라는 미국 시장에 굉장히 영향을 많이 받기에 미국 금리도 알아본다.

미국의 기준금리를 살펴보면 현재까지도 조금씩 금리를 인상하고 있는 모습이다.
결국 금리 인상은 인플레이션과 연관이 깊은데 이 관계를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훨씬 더 성공적인 투자를 하는 데 도움이 된다.
미국은 현재 23.05~23.06월, 10회 연속 금리 인상 뒤 동결하였다.
물론 이후 다시 금리를 인상할 확률이 당연히 존재한다.
- 코스피

다시 돌아와, 코스피 차트를 보면, 한국 기준금리가 22년 10월에 0.50%라는 큰 상승폭으로
증가했을 때 코스피 차트를 보면, 2100 정도의 최근 1년 간의 최저점을 기록했다.
물론 금리와 주가의 상관계수가 +1을 의미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하지만 요즘 주식과 경제에 대해 공부하는 사람이 많아진 것 처럼,
금리 인상이 의미하는 바를 아는 사람들이 많아졌기에, 거기에 심리적인 대응이
분명히 많고, (+ 기관) 그 흐름은 분명 그 의미를 모르는 사람조차 모멘텀에 휩쓸려 주가하락을 만들었을 수도 있다.
3.50%로 동결한 23년 1월 이후부터 꾸준히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우상향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에 있어 이동평균선 20,60,120일의 흐름 또한 상향하는 방향이다.
- 나의 분석 및 전망
일단 시작에 앞서 금리의 상승과 하락이 주가의 절대적인 상승과 하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분명히 관련이 있다. 투자 사계절을 말할 때 항상 나오는 것이 인플레, 디플레, 경제성장률이다.
(아래 링크를 참조하길 바란다.)
투자의 사계절을 이겨내는 방법(레이 달리오 포트폴리오)
안녕하세요 🦁 최근 군부대에서 확진자랑 접촉하여 5일째 격리 중이네요. 격리 중이라 사지방도 못 가고 ...
blog.naver.com
돈의 역사는 되풀이된다. (홍춘욱) - 책 리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돈의 역사는 되풀이된다.>라는 책을 소개하려고 해요. 벌써 첫 글을...
blog.naver.com
결국 금리가 상승하는 시기가 있으면, 금리가 하락하는 시기가 있고,
금리가 동결하는 시기 또한 있을 것이다.
물론 금리 외의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이유, 경제성장률 등 다양한
요소가 주식시장에 반영되기에 금리 하나만으로 절대적인 판단을 하기는 어렵다.
단순 참고지표 정도로 사용하면 좋다.
현재 코스피나 나스닥의 상황이 나쁘지는 않은 편이다.
그러나 나의 생각은 이 회복이 큰 상승으로 다가와 최고점을 갱신한다는 느낌보다는
상승과 하락의 반복 또는 횡보의 흐름이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나의 예상과 다르게 최고점을 갱신할 수도 있는 것이 주식시장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만약 내가 투자를 주식과 채권에 7:3 정도로 했다면
4:6이나 3:7 정도로 주식의 비중을 줄일 것 같다.
그 이유는 나의 판단하에 큰 상승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오히려 하락에 대한 리스크 감소 효과와
만약 상승했을 때를 대비하여, 30~40% 정도의 주식을 남겨놓는 것이다.
물론 이 모든 판단의 근거는 높은 금리는 기업이 대출을 하기 힘든 상황을 만들고,
그 스노우볼은 시장 경제 축소를 바탕으로 주가 하락 및 주식 시장 축소에 근거하였다.
또한 미래 전망을 살펴보자면, 결국 최고점을 갱신하고 더욱 상승하는 흐름이 오려면,
다시 금리가 하락한 이후 금리가 상승하는 순환이 올 때 그럴 확률이 높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지금 당장 주식 시장의 호황은 조금 어렵다고 보고, 내년이나 내후년과
같이 아직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경제 >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매도대금담보대출 이란 ? (활용 방법 및 신용 등급) (1) | 2022.12.06 |
---|---|
순환 신경망(RNN)을 이용한 주가 예측 (Feat. LSTM) (0) | 2022.10.26 |
[경제정보] 주식 주문 방식과 활용 (2) | 2022.10.17 |
[경제정보] 국내 증권사 API별 특징 (Feat. 파이썬) (8) | 2022.10.14 |
투자 기초 용어 정리 (Feat. 월가의 퀀트 투자 바이블) (1) | 2022.10.11 |